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 정책 변화

by 솔테라 2025. 3. 16.

다양성에 대한 사진

 

미국 대학 입시에서 '레거시 입학(Legacy Admission)'이란 부모나 조부모 등 직계 가족이 해당 대학을 졸업했을 경우, 입학 심사에서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주로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등 아이비리그 대학과 스탠퍼드, MIT 같은 명문 사립대에서 활용해 왔습니다.

이 제도는 학교의 전통을 유지하고, 졸업생들의 기부금을 유도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최근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며 폐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는 ‘부유층과 백인을 우대하는 불공정한 시스템’이라는 비판과 함께, 대학 입시에서 다양성과 형평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습니다.

 

레거시 입학의 역사와 배경

 

레거시 입학 제도는 20세기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당시에는 유대인, 가톨릭계 이민자, 아시아계 학생들이 명문 대학에 많이 지원하자, 기존의 백인 개신교 상류층 졸업생들의 자녀들에게 입학 특혜를 주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명문 대학들은 레거시 입학을 유지하는 대신, 다양성과 형평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를 병행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아이비리그 대학 등에서는 레거시 입학이 유력한 입학 전략 중 하나로 남아 있었으며, 특히 기부금 유치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많았습니다.

 

레거시 입학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졸업생과 학교 간의 유대 강화 – 부모나 조부모가 해당 대학 출신일 경우, 가족 단위로 학교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되어 후원금 기부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졸업생 네트워크를 통해 대학의 명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기부금 증가 및 학교 재정 안정성 – 레거시 입학 대상 학생의 가족이 학교에 더 많은 기부를 하게 되어 대학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 기부금 덕분에 학교는 장학금을 지급할 수 있고, 재정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습니다.
  • 학교 전통과 문화 유지 – 여러 세대에 걸쳐 한 가족이 같은 대학을 졸업하면, 특정 대학만의 전통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동문 자녀가 대학에 입학함으로써, 교수진과 학생들의 유대감도 강화됩니다.

❌ 단점

  • 공정성 논란 – 부모가 해당 대학을 졸업했다는 이유만으로 합격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저소득층이나 소수계층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사회적 불평등 심화 – 레거시 입학 대상자는 주로 부유한 백인 가정 출신이 많아, 입시에서 경제적 불평등이 강화됩니다. 능력과 성과보다는 가문의 배경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됩니다.
  • 입학 기회 축소 – 일반 지원자보다 레거시 지원자가 더 쉽게 입학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한 대학에서는 공정한 기회가 줄어듭니다. 특히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도 레거시 지원자들에게 밀려 불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미국 대학들의 레거시 입학 정책 변화

 

최근 몇 년간, 레거시 입학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면서 많은 대학들이 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3년 7월, 웨슬리언 대학교: 레거시 입학 공식 폐지
  • 캘리포니아 주립대(CSU)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UC) 시스템: 레거시 입학 금지
  • 존스홉킨스 대학교: 2020년부터 레거시 입학 폐지 후, 소수계 학생 비율 증가
  • MIT, Caltech: 원래부터 레거시 입학을 고려하지 않음

반면, 하버드·예일·프린스턴 같은 아이비리그 대학들은 여전히 레거시 입학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레거시 입학 폐지 움직임과 미래 전망

 

미국 사회에서 공정한 입시 정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레거시 입학 제도는 점차 축소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2023년 미국 연방대법원이 소수계 학생 우대정책(Affirmative Action)을 폐지하면서, 대학들이 레거시 입학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더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레거시 입학 폐지가 확산될 경우, 대학 입시는 성적과 비교과 활동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더 공정한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대학 입장에서는 기부금 감소와 동문 네트워크 약화가 걱정되는 부분이므로, 일부 명문 대학들은 레거시 입학을 폐지하는 대신, 기부자 우대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론

 

미국 대학의 레거시 입학은 오랜 전통을 가진 제도이지만, 공정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대학 입시 개혁이 요구되면서 점점 폐지되는 추세입니다. 이 제도가 사라진다면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동등한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 대학들은 기부금 문제로 인해 이를 쉽게 포기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미국 대학 입시는 실력과 역량 중심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며, 지원자들은 더욱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해질 것입니다.